직업상담의 목표설정은 상담전략의 선택 및 개입에 관한 기초를 제공해 주는 것이다. 목표가 설정되고 난 후 상담자는 내담자와 함께 목표의 실현 가능성을 탐색해야 한다. 상담자는 개입을 통해 내담자의 목표달성을 촉진하고 조력해야 한다.
목표설정 시 고려사항 및 기본원칙
내담자가 원하는 것을 상담목표로 설정한다. 즉, 내담자의 기대나 가치를 반영하여야 하며, 내담자가 바라는 구체적이고 긍정적인 변화를 상담목표로 설정한다. 상담자의 기술과 양립할 것을 상담목표로 설정한다. 상담목표 설정은 상담전략 및 개입의 선택과 관련이 있다. 만약 상담자의 능력 이상의 도움을 필요로 할 경우 다른 상담자에게 의뢰하는 것이 좋다. 구체적인 것을 상담목표로 설정하며, 추상적인 상담목표를 세워서는 안 된다. 실현 가능한 것을 상담목표로 설정하며, 상담목표는 가능한 현실적이고 실현 가능해야 하며, 이상적인 관점에서 상담목표를 세워서는 안 된다.
진로시간전망
진로시간전망은 과거, 현재, 미래의 정신적인 상을 의미한다. 미래에 대한 내담자의 관심을 증가시키고 현재 행동을 미래목표와 연결시킨다. 진로시간전망 검사지의 사용 목적은 미래의 방향 설정을 가능하게 하며 미래에 대한 희망을 갖도록 한다. 그리고 미래가 실제인 것처럼 느끼게 하고, 현재의 행동을 미래의 결과와 연계시키며, 목표설정을 촉구한다. 추가적으로 진로계획에 대한 긍정적 태도를 강화하고, 진로계획의 기술을 연습시키며 진로의식을 높여준다.
시간차원에 따른 진로결정
'미래 초점형'은 내담자의 진로결정의 초점을 미래에 두며, 장래 무엇이 가장 좋을 것인지에 기초하여 진로를 선택하는 경향이 있다. 미래직업을 설계하는 데 있어 의사결정을 하기 위해 상담자를 찾는다. '과거 초점형'은 내담자가 타인에 의해 자신의 역할이 결정되는 경우 스스로 그 역할을 수행하며, 전통적이고 가족으로부터 세습된 목표를 성취하기 위해 상담자에게 도움을 청한다. '현재 초점형'은 내담자가 미래보다는 당장의 의식주 문제, 금전과 오락 등에 관심을 가진다. 미래의 의사결정보다는 당장의 직업을 위해 상담자를 찾는다.
원형검사
코틀(Cottle)의 진로시간정망 검사의 방법으로 가장 효과적인 시간전망 개입도구이다. 검사자는 3개의 원을 이용하여 개개인이 어떤 시간전망을 지배하고 어떻게 시간차원과 연관이 되는지와 같은 개인의 시간적인 지배성과 연관성을 평가하고 향상하기 위해 원형검사를 사용한다. 과거, 현재, 미래를 의미하는 세 개의 원을 그리게 한다. 원의 크기는 시간차원에 대한 상대적 친밀감을, 원의 배치는 시간차원이 각각 어떻게 연관되어 있는지를 나타낸다. 상담자는 시간적인 지배성과 연관성을 평가하고, 개인 또는 집단의 시간전망을 향상하기 위해 원형검사를 이용할 수 있다. 진로시간전망 개입은 시간에 대한 심리적 경험의 세 가지 측면에 반응하는 방향성, 변별성, 통합성 세 가지 국면으로 구분된다.
'직업상담의 이해' 카테고리의 다른 글
직업상담의 기법 - 대안개발과 의사결정 (0) | 2025.02.23 |
---|---|
직업상담의 기법 - 내담자의 인지적 명확성 사정 (0) | 2025.02.22 |
직업상담의 기법 - 내담자사정 (0) | 2025.02.20 |
직업상담의 기법 - 구조화된 면담법 2 (0) | 2025.02.19 |
직업상담의 기법 - 구조화된 면담법 1 (0) | 2025.02.18 |